티스토리 뷰
1. useState
useState는 React와 React Native 개발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Hooks 중 하나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useState는 두 가지 요소를 배열 형태로 반환한다.
기본 형태는 아래와 같고 여기서 initialState는 상태의 초기값, state는 현재 상태의 값, setState는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함수다.
useState를 사용함으로써 컴포넌트의 상태를 함수 내부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된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State);
2. 예시 코드
아래 코드는 useState를 사용하는 간단한 예시로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카운터의 값이 증가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View, Text, Button } from 'react-native';
const CounterApp = () =>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return (
<View style={{ flex: 1,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Text>현재 카운터 값: {count}</Text>
<Button
title="카운터 증가"
onPress={() => setCount(count + 1)}
/>
</View>
);
};
export default CounterApp;
위 코드에서는 useState를 사용해서 count 상태를 선언하고, count 상태를 setCount 함수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를 때마다 setCount함수가 호출되어 count 상태가 업데이트되고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되면서 화면에 업데이트된 count값이 출력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losure
- 코틀린
- 세션
- Android
- 스프링
- 인텐트
- Spring
- kotlin
- apply
- JavaScript
- useEffect
- 리액트 네이티브
- Git
- 깃 플로우 전략
- 오라클
- 시노님
- 자바
- Intent
- React-Native
- 스케쥴러
- 안드로이드
- oracle
- Session
- 깃
- Synonym
- Java
- Scheduler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