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seEffect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쉽게 말해 컴포넌트가 보여졌을 때(마운트), 사라졌을 때(언마운트), 업데이트 될 때(props가 바뀔 때)를 캐치해 각 상황별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useEffect(() => { // 마운트 return () => { // 언마운트 };}, []);위 코드에서 "마운트" 부분은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호출 된다.그리고 "언마운트" 부분은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질 때 호출된다. 추가로 두번째 파라미터에 의존성 배열을 두어 해당 배열에 포함된 값들이 변경될 때마다 useEffect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useEffect(() ..
1. useState useState는 React와 React Native 개발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Hooks 중 하나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useState는 두 가지 요소를 배열 형태로 반환한다. 기본 형태는 아래와 같고 여기서 initialState는 상태의 초기값, state는 현재 상태의 값, setState는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함수다. useState를 사용함으로써 컴포넌트의 상태를 함수 내부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된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state, setState] = useSt..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
- Java
- Scheduler
- 안드로이드
- 세션
- closure
- JavaScript
- 시노님
- Session
- 자바
- 코틀린
- 스케쥴러
- useEffect
- 깃
- apply
- React-Native
- 스프링
- oracle
- Intent
- 인텐트
- Android
- 오라클
- kotlin
- Spring
- 리액트 네이티브
- Synonym
- 깃 플로우 전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