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공부했을 때 당시 가장 이해하기 어려웠던 개념이 클로저였라는 개념이었다. 단어 자체가 멋있어서 자주 검색해 봤던 것 같은데... 당시 이해했던 클로저의 개념을 기록하고자 한다. 잘못된 정보라면 비공개 처리 예정이다. 1. 렉시컬 환경(Lexical Environment)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환경을 가진다고 한다. 코드가 실행되면 스크립트 내에 선언된 변수들은 렉시컬 환경에 올라가게 된다. 위 내용을 예시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let x = 10; function test(y){ alert(x + y); } test(5); // 15; 위 코드가 실행되면 렉시컬 환경이 생성되고 x = 10과 text 함수가 렉시컬 환경에 올라간다. 이후에 코드가 한 줄 한 줄 실행되면서 test(5)..
1. useEffect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쉽게 말해 컴포넌트가 보여졌을 때(마운트), 사라졌을 때(언마운트), 업데이트 될 때(props가 바뀔 때)를 캐치해 각 상황별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useEffect(() => { // 마운트 return () => { // 언마운트 };}, []);위 코드에서 "마운트" 부분은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호출 된다.그리고 "언마운트" 부분은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질 때 호출된다. 추가로 두번째 파라미터에 의존성 배열을 두어 해당 배열에 포함된 값들이 변경될 때마다 useEffect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useEffect(() ..
1. useState useState는 React와 React Native 개발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기본적인 Hooks 중 하나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컴포넌트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useState는 두 가지 요소를 배열 형태로 반환한다. 기본 형태는 아래와 같고 여기서 initialState는 상태의 초기값, state는 현재 상태의 값, setState는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함수다. useState를 사용함으로써 컴포넌트의 상태를 함수 내부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된다.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state, setState] = useSt..
1. Node.js 설치 https://nodejs.org/en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위 페이지에서 LTS버전을 선택해 설치하면 된다. LTS 버전은 Long Term Support라고 해서 소프트웨어의 장기 지원 버전을 의미한다. 안정성과 보안에 중점을 두고 오랜 기간 동안 업데이트와 보안 패치를 제공해 보다 안정적인 환경 서 작업할 수 있다. 현재 시점에서 최신 버전은 20.11.1로 보이는데 다른 버전이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로 이동해 보면 된다. https://nodejs.org/download/release/ Index of /download/release..
처음 Git을 사용할 때는 대부분 단순히 소스 코드를 보관하는 용도로만 활용했었다. 하지만 업무를 진행하면서, Git Branch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고 코드의 버전 관리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과의 협업 과정에서 Git Branch 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1. Git Branch 전략Git Branch 전략은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브랜치를 어떻게 생성, 사용, 병합할지에 대한 규칙을 정하는 것이다. 내가 이해하기 위해 생각했던 예시를 적어보자면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생각하면 쉬웠다. 각 분야별로 전문가(용접, 전기 등)들이 동시에 다양한 부분은 작업하면서도, 전체적으로는 구조가 통합되고 조화를 이루게 된다. Git Branch 전략은 위와 같은 과정을 코드에서 ..
1. apply apply 함수는 코틀린의 확장 함수 중 하나로, 객체의 속성을 초기화하거나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함수는 수신 객체 람다 패턴을 사용하여, 호출된 객체(수신 객체)를 람다 식 내부에서 this로 참조한다. 이를 통해서 객체 내부의 속성이나 함수를 블록 내에서 직접 접근하고 수정할 수 있게 해 준다. 가장 큰 특징은 apply가 처리를 마친 후에 객체 자신을 반환해 체이닝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서 연속적인 메소드 호출이 가능해진다. 2. apply 사용 이유 apply 함수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코드의 간결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객체를 생성하고 바로 이어서 여러 속성을 설정해야 할 때, 각 속성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대신 apply 블록 내에서 모든 설정을 연속적으로 수..
1. 인텐트(Intent) 안드로이드에서 Intent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 간에 작업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메시징 객체다.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시작하거나,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브로드캐스트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의 4대 컴포넌트로 Activity, Service, BroadcastReceiver, ContentProvider가 있는데 각각의 컴포넌트를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Activity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앱의 화면 하나가 하나의 Activity라고 이해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따로 블로그를 작성해두었다. [Android/Kotlin] Activity 와 Activity Life Cycle 1. Activity의 개념..
1. 스케쥴러(Scheduler) 스케줄러는 일정한 시간마다 또는 일정한 시각에 특정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2. 설정 파일 생성 스케줄러를 구성하기 위해 context-scheduler.xml이라는 별도의 설정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해당 설정 파일에 스케줄러와 스케줄링 작업에 관한 정보를 정의하면 된다. 위 설정에서 task:scheduler는 스케줄러를 정의하고, task:scheduled-tasks는 실행할 스케줄링 작업들을 명시한다. cron 표현식을 통해 작업의 실행 주기를 정의할 수 있다. 위 task:scheduled 태그 속성 중 ref는 이후에 만들 참조할 서비스 클래스 명을 작성하고, method는 해당 클래스에서 설정한 주기마다 실행할 메서드를 입력하면된다. re..
- Total
- Today
- Yesterday
- 깃
- 안드로이드
- 스프링
- React-Native
- Intent
- 세션
- Git
- Android
- 스케쥴러
- kotlin
- 리액트 네이티브
- oracle
- Synonym
- 자바
- Scheduler
- useEffect
- Spring
- 깃 플로우 전략
- Session
- closure
- Java
- apply
- 인텐트
- 시노님
- 오라클
- 코틀린
- JavaScri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